공인 IP (public) |
사설 IP (private) |
|
|
|
|
공인 IP
외부로 접속하거나, 외부에서 들어올 때 필요한 주소다.
위 그림에서는 공유기가 공인 IP를 가지고 있다.
즉 공유기의 공인 IP를 통해
외부(인터넷)에 접근할 수 있고,
외부(인터넷)에서 공유기에 접근할 수도 있다.
사설 IP
카페에 공유기 1개가 있다고 해보자.
다수의 손님들이 공유기 1개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.
손님들의 노트북에는 각각 다른 사설IP가 부여되고,
손님들이 공유기의 공인 IP를 공유해서 사용하기 때문이다.
즉 손님들이 인터넷에 접근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.
손님은 사설IP로 공유기에 접근 -> 공유기가 공인IP로 인터넷에 접근
'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 기초] 포트포워딩과 putty (0) | 2018.04.01 |
---|---|
[네트워크 기초] MAC주소 / IP주소 / 포트번호 (0) | 2018.03.25 |
VPN 연결 (0) | 2018.03.23 |